기본상식 HOME > 청각정보 > 기본상식

보청기는 착용 위치와 모양, 증폭방식, 신호처리방식, 기능적 차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보청기는 크게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Transduction)시켜주는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전기적 신호를 적절하게 증폭시켜주는 증폭기(Amplifier) 그리고 증폭된 전기적 신호를 다시 소리로 변환시켜주는 리시버(Receiver)로 구성된다. 즉, 마이크로폰은 공기 중의 음압을 감지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음향센서이고, 증폭기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여 보청기 착용자의 감쇠된 청력 역치를 보상하는 전자소자이며, 리시버는 전기적 신호를 다시 음압으로 변환하는 음향센서로 정의된다. 이 외에도 보청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기 신호 증폭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기가 추가된다.

보청기의 용도

귀의 구조적 문제나 청력 손실의 정도와 형태, 환자의 주관적인 필요성에 따라 적합한 보청기의 종류를 선택하게 된다.

모양과 착용 위치에 따라

포켓형(Box Type), 귀걸이형(BTE:Behind The Ear), 귓속형(ITE: In the Ear), 고막형(CIC: Completely In the Carnal), 안경형(Eyeglass Type)등이 있다. 한국인은 서구인 보다 외이도가 짧고 좁아 고막형 보청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귓바퀴에 의한 증폭 효과(Baffle Effect)와 미용상의 이점 등으로 선호되고 있다. 고도 난청의 경우는 고이득의 보청기가 필요하므로 귀걸이형이 효과적이나 음향 귀환(피드백 Acoustic Feedback)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수한 용도에 따라

  1. 골도형(Bone Conduction) Hearing Aid
    전음성 난청, 외이도의 막힘, 염증, 중이의 기능 상실 등으로 일반 보청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소리를 골전도를 통해 달팽이관에 직접 전달 해 준다.
  2. CROS(Contralateral Routing Offside Signals) Hearing Aid
    한쪽 청력을 상실했으나 다른 한 쪽은 정상이거나 약간의 청력 저하가 있을 때청력을 상실한 쪽에 마이크로폰을 위치시키고 다른 쪽 정상 청력 쪽에는 리시버를 위치시켜 전선으로 연결 하거나 라디오 주파수 (Radio Frequency)방식으로 송신하여 상실한 청력 쪽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설계된 보청기이다.
  3. Directional Hearing Aid
    마이크로폰을 2개 이상 설치하여 음의 지향성 패턴을 변화시킨 것으로 방향성 보청기라고도 말한다. 주변의 소음에 비해 전면의 대화 음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게하여 소음 상황에서의 어음 변별력을 높여 준다.
  4. Transcrainial CROS Hearing Aid
    한쪽 청력을 상실 했을 때 상실한 쪽에 강한 보청기를 위치시키어 두개골 전도방식으로 반대측 달팽이관에 소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청력을 상실한 쪽 어음인지도 및 방향변별력이 향상된다.
  5. Tactile Hearing Aid
    청각사용이 불가능한 난청자로 촉각을 이용한 보청기이다.
  6. FM(Frequency-Modulated) hearing system
    주파수 변조 보청기로 강연 및 회의석상에서 무선 마이크로폰을 말하는 사람 가까이에 놓고 FM 무선 통신 방식으로 리시버에 전달하는 방법으로 신호대 잡음비가 커지고 최소 가청 역치 및 어음인지도가 현저히 향상된다. 청각 장애아들의 교육에 많이 사용된다.
  7. FT(Frequency Transposition) hearing system
    주파수전위보청기로 고음은 청력이 상실되고, 저음은 고도 난청일 때 사용한다. 고음영역에서 일반보청기보다 최소 가청 역치 및 어음인지도의 향상을 보이며 Cochlear Implant의 전 단계 또는 대안으로 활용된다.
  8. Cochlear Implant/Brainstem Implant
    인공 와우이식 수술로, 보청기만으로 청력보상이 어려울 때 시술하게 된다.
  9. 이식형 보청기
    외이의 연골부에 보청기를 이식시켜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외이도의 자연 공명 효과를 그대로 유지 할 수 있다. 소리의 왜곡이나 폐쇄 효과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신호처리 방식에 따라

  1. 아날로그 보청기
    아날로그 IC 증폭기 칩을 사용하며 음량 조절기 외의 다른 조절 수단이 없어 특이한 형태의 청력 역치에 대한 세밀한 보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날로그 IC 증폭기 칩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대략적으로 청력 역치에 맞춰 분류, 제조한다. 음향 휘드백이 자주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2. 프로그래머블 보청기
    아날로그 보청기에서 디지털 보청기로 발전하는 중간 단계에 선 보인 보청기로써 요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디지털 보청기
    마이크로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디지털 신호 처리 방식에 의해 증폭과 필터링을 하고, 다시 리시버의 아날로그 신호로 재변환 되도록 아날로그-디지털 혼성 IC 증폭기 칩을 사용한다. 외부 컴퓨터(제어부)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여 컴퓨터를 경유한 피팅 파라미터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이한 형태의 청력 역치에 대한 세밀한 보상이 가능하다. 디지털 보청기는 IC 칩 설계 및 제조 공정 기술의 발전으로 외부 소음성 잡음 대비 대화음 신호의 비율을 높이도록 설계, 제작된다. DSP 전용 디지털 보청기와 100% DSP 범용 디지털 보청기로 나뉘는데, 후자의 경우 음향 휘드백 자동 제거와 소음 감쇠 및 어음변별력 향상 기능 등 다양한 DSP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알고코리아는 국내에서는 최초로 디지털 보청기 휘팅 프로그램을 개발한 보청기 제조 및 서비스 전문벤처 기업이다.

회원 로그인
정보기억 정보기억에 체크할 경우 다음접속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러나, 개인PC가 아닐 경우 타인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PC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공공장소에서는 체크하지 마세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로그인하시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없이 회원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